바빌론의 공중 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빌론의 공중 정원은 고대 바빌론에 존재했다고 전해지는 정원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에 건설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 존재 여부는 불분명하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공중 정원은 층층이 이루어진 구조에 다양한 식물이 심어져 있었으며, 왕비를 기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바빌론의 공중 정원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최근에는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리브가 니네베에 건설한 정원이 바빌론의 공중 정원으로 잘못 알려졌다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고대 바빌론의 공중정원에 대하여 현존하는 자세한 기록을 남긴 사람은 모두 5명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자의 기록에서 바빌론의 공중정원의 규모, 관개시설, 형태, 지어진 이유 등에 대하여 차이를 보인다.
바빌론의 공중정원이 실제로 존재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당대의 바빌로니아 기록들이 현재까지 별로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의 기록에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왕비 '아미티스'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지 않으며[18][58], 정원과 관련된 언급도 전혀 없다.[19][59]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 역사에서 바빌론을 묘사하면서 공중 정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20][60]
2. 고대의 기록
바빌론의 공중 정원이 실제 건축물이었는지, 아니면 시적인 창작물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는 동시대 바빌론 자료에서 관련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아내 아미티스(또는 다른 아내)에 대한 언급도 없다. 그러나 메디아나 페르시아 출신의 정략 결혼은 드문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18]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업적에 대한 많은 기록이 있지만, 그의 길고 완벽한 비문에는 어떤 정원에 대한 언급도 없다.[19] 하지만 후대의 작가들이 묘사할 당시에도 정원이 존재했다고 하며, 이러한 기록 중 일부는 바빌론을 방문했던 사람들에게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21]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인 ''역사''에서 바빌론을 묘사하면서 공중 정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20] 그러나 헤로도토스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정원이 아직 그리스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21]
현재까지 바빌론에서 공중 정원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9] 유프라테스 강 아래에 증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안전하게 발굴할 수 없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에는 강이 현재 위치의 동쪽에 흐르고 있었으며, 바빌론 서부 지역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22] 롤링거는 베로소스가 정치적인 이유로 정원을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귀속시켰으며, 다른 곳에서 전해지는 전설을 차용한 것이라고 추정했다.[23]
오늘날까지 바빌론에 대한 묘사가 어떤 형태로든 현존하는 저자로서 5명이 언급된다. 이들 저자는 공중 정원의 규모, 전체 설계, 급수 방법, 건조 목적에 이르기까지 언급한다.
'''요세푸스 (기원후 37년-기원후 100년)'''
플라비우스 요세푸스(기원후 37년-기원후 100년)는 바빌로니아의 마르두크 신의 사제인 베로소스가 기원전 290년경에 공중 정원에 대해 기록했다고 인용했다.[45] 베로소스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치세에 대해 쓰고 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공중 정원을 건설했다고 하는 유일한 사료이다.[52]''"이 궁전에 그는 기둥으로 받쳐진 매우 높은 보도를 건설했다. 그리고 "매달린 낙원"이라고 불리는 정원을 만들고 그 정원에 온갖 종류의 나무를 심어 이를 채워 산악 지역과 같은 풍경을 만들어 냈다. 그는 이것을 자신의 왕비를 만족시키기 위해 행했다. 왜냐하면 그녀는 메디아에서 자랐고 산악 지역의 취향을 좋아했기 때문이다.[53]"''
요세푸스가 인용한 베로수스의 설명은 현재 남아있는 기록들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 그는 왕비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궁전을 산악지방과 같이 조성하고, 온갖 나무와 식물들을 심어 '공중의 낙원'이라 칭했다.
'''디오도루스 시쿨루스 (기원전 60-30년)'''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60-30년경 활동)는 기원전 4세기경 클레이타르코스나 크니도스의 크테시아스가 쓴 문서를 참고한 듯하다.[54] 디오도루스는 시리아 왕이 정원을 건설했다고 언급하며, 정원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한 변의 길이가 약 4플레트론(약 120미터)이라고 설명한다.[54] 정원은 계단식 층으로 구성되었고, 가장 윗층의 높이는 50큐빗(약 2-2.5미터)이며, 벽의 두께는 22피트(약 6.6미터)로 벽돌로 만들어졌다.[54] 각 층의 바닥은 큰 나무가 뿌리내릴 수 있을 만큼 깊었고, 유프라테스 강의 물을 이용하여 관개되었다.[54]
'''퀸티스 루푸스 (기원후 1세기)'''
퀸토스 쿠르티우스 루푸스(서기 1세기경 활동)는 아마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와 같은 사료를 인용하고 있다. 그는 정원이 요새의 꼭대기에 만들어졌으며, 그 외주는 20스타디온(약 3.6킬로미터)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정원의 건설자는 시리아의 왕이라고 하며, 정원을 건설한 이유는 왕비가 고향을 그리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루푸스는 정원이 성의 맨 꼭대기에 위치해 있었다고 적었다.
'''스트라보 (기원전 64년-기원후 21년)'''
스트라본(기원전 64년-기원후 21년)의 기록은 기원전 4세기에 오네시크리토스(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부하이자 역사가)의 문서(현존하지 않음)에 기초한 것으로 보인다.[56] 그는 정원이 벽돌로 만들어진 기둥과 지하실 위에 네 모퉁이를 기둥으로 지탱해 높이 세운 입방체의 테라스에 흙을 쌓아 만들었으며, 그 위에 아치형 지붕이 덮여 있었다고 설명한다.[56] 또한 정원은 유프라테스 강에서 정원으로 이어지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에 의해 관개되었다고 한다.[56]
'''필로 (기원후 4-5세기)'''
동로마 제국의 작가 필로는 이 공중정원을 소개하며, 스트라본이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물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필로는 거대한 양의 흙을 높이 쌓아 올리고, 물을 끌어올린 후 벽을 쌓은 기술과 독창성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 그는 정원의 높이가 주변 땅보다 훨씬 높고, 정원 건설에 사용된 흙의 양이 엄청나다고 언급하며 관개 기술에 대해서도 칭찬했다.
2. 1. 요세푸스 (기원후 37년-기원후 100년)
플라비우스 요세푸스(기원후 37년-기원후 100년)는 바빌로니아의 마르두크 신의 사제인 베로소스가 기원전 290년경에 공중 정원에 대해 기록했다고 인용했다.[45] 베로소스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치세에 대해 쓰고 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공중 정원을 건설했다고 하는 유일한 사료이다.[52]''"이 궁전에 그는 기둥으로 받쳐진 매우 높은 보도를 건설했다. 그리고 "매달린 낙원"이라고 불리는 정원을 만들고 그 정원에 온갖 종류의 나무를 심어 이를 채워 산악 지역과 같은 풍경을 만들어 냈다. 그는 이것을 자신의 왕비를 만족시키기 위해 행했다. 왜냐하면 그녀는 메디아에서 자랐고 산악 지역의 취향을 좋아했기 때문이다.[53]"''
요세푸스가 인용한 베로수스의 설명은 현재 남아있는 기록들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84] 그는 왕비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궁전을 산악지방과 같이 조성하고, 온갖 나무와 식물들을 심어 '공중의 낙원'이라 칭했다.[85]
2. 2. 디오도루스 시쿨루스 (기원전 60-30년)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60-30년경 활동)는 기원전 4세기경 클레이타르코스나 크니도스의 크테시아스가 쓴 문서를 참고한 듯하다.[54] 디오도루스는 시리아 왕이 정원을 건설했다고 언급하며, 정원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한 변의 길이가 약 4플레트론(약 120미터)이라고 설명한다.[54] 정원은 계단식 층으로 구성되었고, 가장 윗층의 높이는 50큐빗(약 2-2.5미터)이며, 벽의 두께는 22피트(약 6.6미터)로 벽돌로 만들어졌다.[54] 각 층의 바닥은 큰 나무가 뿌리내릴 수 있을 만큼 깊었고, 유프라테스 강의 물을 이용하여 관개되었다.[54]
2. 3. 퀸티스 루푸스 (기원후 1세기)
퀸티스 쿠르티우스 루푸스(서기 1세기경 활동)는 아마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와 같은 사료를 인용하고 있다.[87] 그는 정원이 요새의 꼭대기에 만들어졌으며, 그 외주는 20스타디온(약 3.6킬로미터)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정원의 건설자는 시리아의 왕이라고 하며, 정원을 건설한 이유는 왕비가 고향을 그리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55] 루푸스는 정원이 성의 맨 꼭대기에 위치해 있었다고 적었다.[87]
2. 4. 스트라보 (기원전 64년-기원후 21년)
스트라본(기원전 64년-기원후 21년)의 기록은 기원전 4세기에 오네시크리토스(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부하이자 역사가)의 문서(현존하지 않음)에 기초한 것으로 보인다.[56] 그는 정원이 벽돌로 만들어진 기둥과 지하실 위에 네 모퉁이를 기둥으로 지탱해 높이 세운 입방체의 테라스에 흙을 쌓아 만들었으며, 그 위에 아치형 지붕이 덮여 있었다고 설명한다.[56] 또한 정원은 유프라테스 강에서 정원으로 이어지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에 의해 관개되었다고 한다.[88][56]
2. 5. 필로 (기원후 4-5세기)
동로마 제국의 작가 필로는 이 공중정원을 소개하며, 스트라본이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물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89] 필로는 거대한 양의 흙을 높이 쌓아 올리고, 물을 끌어올린 후 벽을 쌓은 기술과 독창성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89] 그는 정원의 높이가 주변 땅보다 훨씬 높고, 정원 건설에 사용된 흙의 양이 엄청나다고 언급하며 관개 기술에 대해서도 칭찬했다.[57]
3. 사실성 논란과 새로운 학설
현재까지 바빌론의 유적에서 공중정원의 잔해가 발굴되지는 않았다.[9][45] 유프라테스강 아래에 묻혀있을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보고된 적은 없다. 고대 바빌론의 서부지역에 관해서는 아는 바가 많지 않다.[22][61] 한 학자는 베로수스가 공중정원을 다른 나라의 신화를 베껴와 순전히 정치적 이유로 이를 언급했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하였다.[23][62]
최근 학설에서는 바빌론의 공중 정원이 실제로 건설되었지만, 바빌론이 아닌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재위 기원전 704 - 681년)가 자신의 수도 니네베 궁전에 건설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스테파니 댈리는 센나케리브 궁전의 광대한 정원이 네부카드네자르 시대에 바빌론에 존재했던 것으로 오해되었다고 단정한다.[51] 센나케리브에게 헌정된 광대한 급수 시스템이 최근 니네베에서 발굴되었으며, 댈리는 이를 총 연장 80킬로미터에 달하는 운하, 댐, 수로 등으로 구성된 급수 시스템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또한, 정원 상단으로 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나선형 양수 장치가 사용되었다.[63]
댈리는 "바빌론"이라는 이름은 "신의 문"을 의미하며[65], 센나케리브는 도시 문 이름을 신들의 이름으로 개명하여[67] 자신의 도시가 신의 문이 되기를 원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요세푸스만이 네부카드네자르가 정원을 건설했다고 언급하지만, 네부카드네자르는 수많은 비문을 남겼음에도 정원이나 공학적 사업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68] 반면, 센나케리브는 비문을 남겼고[69], 고고학적으로 그의 수도 사업에 대한 증거가 남아있으며[70], 그의 손자인 아슈르바니팔은 궁전 벽에 무성한 정원을 묘사한 조각 벽화를 남겼다고 덧붙였다.[71]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립이 수도 니네베에 공중정원을 지었고, 이 사실이 잘못 전해져 바빌론의 공중정원으로 알려졌다는 설이 유력하다.[94] 학자 스테파니 델리는 후대에 니네베와 바빌론이 서로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바빌론에 공중정원이 있었다고 전해졌다고 주장한다.[94] 고고학자들은 센나케립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약 80km에 달하는 거대한 운하와 댐을 발굴하였고, 이것이 니네베에 물을 공급했으며 공중정원으로 물을 끌어올렸다고 생각했다.[95]
델리의 주장은 고대 아시리아의 기록에 근거한다. '바빌론'이라는 이름은 고대 언어로 '신들의 문'이라는 뜻인데,[96] 이 이름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도시들 사이에서 자주 쓰였다.[97] 센나케립은 니네베의 성문에 신들의 이름을 붙였고,[98] 이는 니네베가 바빌론과 혼동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오직 요세푸스만이 네부카드네자르 왕을 직접 언급하였고, 나머지 기록들은 모두 '시리아의 왕'이라고만 표현한다. 네부카드네자르 왕에 관한 수많은 기록들에 정원에 관련된 언급이 없는 반면, 센나케립의 연대기에는 정원이 나와있으며[99], 그의 궁전에서는 관련 유적까지도 발견되었다.[100] 또한 그의 자손인 아슈르바니팔 왕의 궁전 벽에는 정원 모양을 한 벽돌 장식이 있다.[101] 센나케립은 그의 궁전과 정원을 '모든 이들의 경의'라고 불렀으며, 물을 그의 정원 위로 끌어올리는 방법까지도 설명한 기록이 남아있다.
니네베의 공중정원은 황량한 사막 한가운데 있는 오아시스 같은 아름다운 디자인뿐만 아니라, 물을 끌어올리는 거대한 장치들 때문에 당대에도 매우 유명했다. 아슈르바니팔 왕의 궁전에는 산을 굽이치며 흘러가는 거대한 운하가 있었으며, 그 주위를 따라 과일나무, 포도, 올리브, 배, 대추야자 등 다양한 수목들이 조화를 이루었다. 이 정원을 묘사한 벽돌은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대 기록에 남아있는 바빌론의 공중정원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센나케립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원을 둘러싸는 거대한 석회암 벽을 지었는데, 이 벽의 유구는 19세기 중반에 발굴되기도 하였다. 그가 발굴한 도시들은 센나케립의 정원과도 비슷한 배치를 갖고 있으나, 공중정원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 유적들은 현재 군사 기지가 위치해있어, 더 나아간 발굴을 시도하지는 못했다.
당시 공중정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약 50km에 달하는 거대한 운하를 산까지 연결시켜야 했다. 아시리아의 왕은 이 수로에 대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는데, 기록에 따르면 이 수로는 자동으로 열리는 수문을 갖고 있었고,[102] 방수 시멘트와 석조 아치 형태로 지어졌고,[103] 2백만 개가 넘는 돌들로 지어졌다고 한다. 센나케리브는 메소포타미아의 왕 중에서 유일하게 그의 아내에 대한 사랑을 기록으로 남겼다. 센나케리브의 궁전에서 제방을 보강하기 위한 많은 석회암에 대해 센나케리브는 언급하고 있다. 궁전의 일부는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에 의해 19세기 중반에 발굴되었다. 그의 요새 도면은 센나케리브의 정원이 요새 내 어딘가에 있었음을 보여주지만, 그 위치는 특정되지 않았다. 현재 그곳은 군사 기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추가 조사는 어려운 상황이다. 센나케리브는 자신이 최초로 로스트 왁스(주조) 제법을 실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그 기술을 통해 30톤에 달하는 기념비적인 청동 주물을 제조했다.
''"나 센나케립, 세계와 아시리아의 왕은, 드디어 니네베로 향하는 수로를 건설하였다. 깊은 계곡들 사이로 백색 석회암을 이용하여 거대한 물길을'' ''만들었으며, 물들이 그 사이를 유유히 흐르게 하였다. "''
센나케립 왕은 그의 수로가 당시의 최신 기술을 이용해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모든 이들의 경의'라고 불렀다. 이 수로는 산에서부터 내려왔기 때문에, 높은 지대에 위치했던 공중정원까지도 이를 끌어올릴 수 있었으며, 특수 장치를 사용하여 더 높이 끌어올릴 수도 있었다.
3. 1. 회의적 시각
바빌론의 공중정원이 실제로 존재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당대의 바빌로니아 기록들이 현재까지 별로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의 기록에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왕비 '아미티스'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지 않으며[18][58], 정원과 관련된 언급도 전혀 없다.[19][59]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저서 역사에서 바빌론을 묘사하면서 공중 정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20][60]
현재까지 바빌론의 유적에서 공중정원의 잔해가 발굴되지는 않았다.[9][45] 유프라테스강 아래에 묻혀있을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보고된 적은 없다. 고대 바빌론의 서부지역에 관해서는 아는 바가 많지 않다.[22][61] 한 학자는 베로수스가 공중정원을 다른 나라의 신화를 베껴와 순전히 정치적 이유로 이를 언급했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하였다.[23][62]
최근 학설에서는 바빌론의 공중 정원이 실제로 건설되었지만, 바빌론이 아닌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재위 기원전 704 - 681년)가 자신의 수도 니네베 궁전에 건설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스테파니 댈리는 센나케리브 궁전의 광대한 정원이 네부카드네자르 시대에 바빌론에 존재했던 것으로 오해되었다고 단정한다.[51] 센나케리브에게 헌정된 광대한 급수 시스템이 최근 니네베에서 발굴되었으며, 댈리는 이를 총 연장 80킬로미터에 달하는 운하, 댐, 수로 등으로 구성된 급수 시스템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또한, 정원 상단으로 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나선형 양수 장치가 사용되었다.[63]
댈리는 "바빌론"이라는 이름은 "신의 문"을 의미하며[65], 센나케리브는 도시 문 이름을 신들의 이름으로 개명하여[67] 자신의 도시가 신의 문이 되기를 원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요세푸스만이 네부카드네자르가 정원을 건설했다고 언급하지만, 네부카드네자르는 수많은 비문을 남겼음에도 정원이나 공학적 사업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68] 반면, 센나케리브는 비문을 남겼고[69], 고고학적으로 그의 수도 사업에 대한 증거가 남아있으며[70], 그의 손자인 아슈르바니팔은 궁전 벽에 무성한 정원을 묘사한 조각 벽화를 남겼다고 덧붙였다.[71]
3. 2. 니네베 공중정원설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립이 수도 니네베에 공중정원을 지었고, 이 사실이 잘못 전해져 바빌론의 공중정원으로 알려졌다는 설이 유력하다.[94] 학자 스테파니 델리는 후대에 니네베와 바빌론이 서로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바빌론에 공중정원이 있었다고 전해졌다고 주장한다.[94] 고고학자들은 센나케립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약 80km에 달하는 거대한 운하와 댐을 발굴하였고, 이것이 니네베에 물을 공급했으며 공중정원으로 물을 끌어올렸다고 생각했다.[95]
델리의 주장은 고대 아시리아의 기록에 근거한다. '바빌론'이라는 이름은 고대 언어로 '신들의 문'이라는 뜻인데,[96] 이 이름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도시들 사이에서 자주 쓰였다.[97] 센나케립은 니네베의 성문에 신들의 이름을 붙였고,[98] 이는 니네베가 바빌론과 혼동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오직 요세푸스만이 네부카드네자르 왕을 직접 언급하였고, 나머지 기록들은 모두 '시리아의 왕'이라고만 표현한다. 네부카드네자르 왕에 관한 수많은 기록들에 정원에 관련된 언급이 없는 반면, 센나케립의 연대기에는 정원이 나와있으며[99], 그의 궁전에서는 관련 유적까지도 발견되었다.[100] 또한 그의 자손인 아슈르바니팔 왕의 궁전 벽에는 정원 모양을 한 벽돌 장식이 있다.[101] 센나케립은 그의 궁전과 정원을 '모든 이들의 경의'라고 불렀으며, 물을 그의 정원 위로 끌어올리는 방법까지도 설명한 기록이 남아있다.
니네베의 공중정원은 황량한 사막 한가운데 있는 오아시스 같은 아름다운 디자인뿐만 아니라, 물을 끌어올리는 거대한 장치들 때문에 당대에도 매우 유명했다. 아슈르바니팔 왕의 궁전에는 산을 굽이치며 흘러가는 거대한 운하가 있었으며, 그 주위를 따라 과일나무, 포도, 올리브, 배, 대추야자 등 다양한 수목들이 조화를 이루었다. 이 정원을 묘사한 벽돌은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대 기록에 남아있는 바빌론의 공중정원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센나케립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원을 둘러싸는 거대한 석회암 벽을 지었는데, 이 벽의 유구는 19세기 중반에 발굴되기도 하였다. 그가 발굴한 도시들은 센나케립의 정원과도 비슷한 배치를 갖고 있으나, 공중정원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 유적들은 현재 군사 기지가 위치해있어, 더 나아간 발굴을 시도하지는 못했다.
당시 공중정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약 50km에 달하는 거대한 운하를 산까지 연결시켜야 했다. 아시리아의 왕은 이 수로에 대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는데, 기록에 따르면 이 수로는 자동으로 열리는 수문을 갖고 있었고,[102] 방수 시멘트와 석조 아치 형태로 지어졌고,[103] 2백만 개가 넘는 돌들로 지어졌다고 한다. 센나케리브는 메소포타미아의 왕 중에서 유일하게 그의 아내에 대한 사랑을 기록으로 남겼다. 센나케리브의 궁전에서 제방을 보강하기 위한 많은 석회암에 대해 센나케리브는 언급하고 있다. 궁전의 일부는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에 의해 19세기 중반에 발굴되었다. 그의 요새 도면은 센나케리브의 정원이 요새 내 어딘가에 있었음을 보여주지만, 그 위치는 특정되지 않았다. 현재 그곳은 군사 기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추가 조사는 어려운 상황이다. 센나케리브는 자신이 최초로 로스트 왁스(주조) 제법을 실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그 기술을 통해 30톤에 달하는 기념비적인 청동 주물을 제조했다.
''"나 센나케립, 세계와 아시리아의 왕은, 드디어 니네베로 향하는 수로를 건설하였다. 깊은 계곡들 사이로 백색 석회암을 이용하여 거대한 물길을'' ''만들었으며, 물들이 그 사이를 유유히 흐르게 하였다. "''
센나케립 왕은 그의 수로가 당시의 최신 기술을 이용해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모든 이들의 경의'라고 불렀다. 이 수로는 산에서부터 내려왔기 때문에, 높은 지대에 위치했던 공중정원까지도 이를 끌어올릴 수 있었으며, 특수 장치를 사용하여 더 높이 끌어올릴 수도 있었다.
4. 공중정원의 식물
바빌론의 공중정원에는 수많은 예술품, 만발한 꽃나무, 과일나무, 조그만 폭포수, 잎들이 무성한 야외 테라스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41] 당시 바빌로니아 기록들과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공중정원에는 올리브, 마르멜로, 서양 배, 무화과, 아몬드, 포도덩굴, 대추야자 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1]
예술 작품에 묘사된 정원은 꽃이 만발하고, 과일이 익어가며, 물이 졸졸 흐르는 폭포와 풍성한 잎으로 뒤덮인 테라스가 특징이었다.[41]
바빌론 문학, 전통, 그리고 그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바탕으로, 정원에서 발견되었을 수 있는 식물들은 다음과 같다.[41]
- 올리브 (''Olea europaea'')
- 모과 (''Cydonia oblonga'')
- 서양배 (''Pyrus communis'')
- 무화과 (''Ficus carica'')
- 아몬드 (''Prunus dulcis'')
- 포도 (''Vitis vinifera'')
- 대추야자 (''Phoenix dactylifera'')
- 타마릭스 아필라 (''Tamarix aphylla'')
- 아틀라스 피스타치오 나무 (''Pistacia atlantica'')
정원에 있었을 수 있는 도입종 식물 품종으로는 삼나무, 사이프러스, 흑단, 석류, 자두, 장미목, 테레빈스, 노간주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전나무, 몰약, 호두, 버드나무가 있다.[42] 이러한 식물 중 일부는 테라스 위에 걸려 있었고, 그 아래 아치와 벽에 드리워져 있었다.
5. 한국의 관점과 영향
6. 결론
참조
[1]
논문
The Hanging Gardens of Nineveh
[2]
간행물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s://www.worldhis[...]
2018-07
[3]
문서
[4]
서적
Babylon: City of Wonders
London: British Museum Press
[5]
문서
[6]
웹사이트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www.seven-won[...]
2014-02-05
[7]
웹사이트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www.unmuseum.[...]
2014-02-05
[8]
서적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9]
문서
[10]
문서
[11]
논문
Nineveh, Babylon and the Hanging Gardens: Cuneiform and Classical Sources Reconciled
[12]
웹사이트
Joseph. contr. Appion.
http://www.sacred-te[...]
[13]
문서
Diodorus Siculus II.10-1-10
[14]
문서
History of Alexander V.1.35-5
[15]
문서
Geography
[16]
문서
Of Pots and P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as presented to David Oates on his 75th Birthday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Herodotus and Hellenistic culture: Literary Studies in the Reception of the Histor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22]
서적
Babylon
Thames and Hudson
[23]
서적
The World of Berossos
[24]
논문
Ancient Mesopotamian Garde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solved
[25]
뉴스
Babylon's hanging garden: ancient scripts give clue to missing wonder
https://www.theguard[...]
2013-05-05
[26]
문서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27]
문서
Babylonian Topographical Texts
[28]
문서
Cuneifor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29]
문서
Ina Sulmi Erub
[30]
문서
[31]
문서
The Octagonal Sennacherib Prism in the Iraq Museum
[32]
문서
Sennacherib's Aqueduct at Jerwan
[33]
문서
Discoveries in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34]
문서
[35]
문서
Alexander the Great
[36]
서적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7]
문서
BM124939
[38]
문서
Original Drawing IV 77
[39]
문서
Layard (1853)
[40]
문서
Jacobsen (1935)
[41]
웹사이트
The Lost Gardens of Babylon - Guide to Ancient Plants
https://www.pbs.org/[...]
PBS
2014-05-02
[42]
서적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OUP
2013
[43]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9
[44]
간행물
The Hanging Gardens of Nineveh
[45]
서적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outledge
[46]
문서
Finkel (1988) p. 58
[47]
서적
Babylon: City of Wonders
British Museum Press
[48]
문서
Finkel 2008
[49]
웹사이트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2014-02-05
[50]
서적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51]
간행물
Ancient Mesopotamian Garde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solved
[52]
문서
アーヴィング・フィンケル、2008年 p.108より。英語版の記事からこの脚注を引用したが、引用文献が『バビロン 驚異の都市』(前出)なのか、『バビロン』(著:アーヴィング・フィンケル、マイケル・シーモア、オックスフォード出版、2008年)なのか判然としない。
[53]
문서
Joseph. contr. Appion. lib. 1. c. 19.—Syncel. Chron. 220.—Euseb. Præp. Evan. lib. 9
[54]
문서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II.10-1-10
[55]
문서
Quintus Curtius Rufus, "History of Alexander" V.1.35-5
[56]
서적
Geography XVI.1.5
Loeb Classical Library edn (Harvard University Press)
[57]
문서
i.e. not by Philo the Engineer of Byzantium, but perhaps Philo the Paradoxographer of Byzantium; Stephanie Dalley, "More about the Hanging Gardens," in Of Pots and P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as presented to David Oates on his 75th Birthday, Edited by L. al-Gailani-Werr, J.E. Curtis, H. Martin, A. McMahon, J. Oates and J.E. Reade, (London), pp. 67–73 ISBN 1-897750-62-5.
[58]
문서
アーヴィング・フィンケル、2008年 p.109より。英語版の記事からこの脚注を引用したが、引用文献が『バビロン 驚異の都市』(前出)なのか、『バビロン』(著:アーヴィング・フィンケル、マイケル・シーモア、オックスフォード出版、2008年)なのか判然としない
[59]
문서
前出『バビロンの空中庭園の謎:“世界の不思議”の謎を追う』(ステファニー・ダリー、2013年)による。
[60]
서적
Herodotus and Hellenistic culture: Literary Studies in the Reception of the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61]
서적
Babylon
Thames and Hudson, London
[62]
문서
Rollinger, Robert "Berossos and the Monuments", ed. J Haubold et al, The World of Berossos, Wiesbaden (2013), p151
[63]
뉴스
Babylon's hanging garden: ancient scripts give clue to missing wonder
The Guardian
2013-05-05
[64]
문서
前出『バビロンの空中庭園の謎:“世界の不思議”の謎を追う』(ステファニー・ダリー、2013年)による
[65]
서적
Babylonian Topographical Texts
Peters
[66]
문서
see for example Cuneifor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Vol 19, page 25, line 25
[67]
문서
Pongratz-Leisten, Ina Sulmi Erub (1994)
[68]
문서
See Dalley (2013) ch 1 for a summary.
[69]
문서
Especially: the Iraq Museum prism dated 694 BC published by A Heidel, The Octagonal Sennacherib Prism in the Iraq Museum, Sumer 9 (1953); and the British Museum prism BM103000 of the same date
[70]
문서
T Jacobsen and S Lloyd, Sennacherib's Aqueduct at Jerwan (1935); Reade, Studies in Assyrian Geography, Revue d'Assyriologie 72 (1978); Channel 4 TV programme Secret History: Finding Babylon's Hanging Garden, 24th November 2013
[71]
서적
Discoveries in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72]
서적
バビロンの空中庭園の謎:“世界の不思議”の謎を追う
[73]
서적
アレクサンダー大王
[74]
서적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75]
문서
壁画識別番号 BM124939
[76]
문서
Original Drawing IV 77
[77]
서적
ニネヴェとバビロンの遺構における発見
[78]
서적
ジャーワンの遺構 センナケリブの水道橋
[79]
저널
The Hanging Gardens of Nineveh
[80]
백과사전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s://www.worldhis[...]
2018-07-01
[81]
서적
Babylon: City of Wonders
https://archive.org/[...]
London: British Museum Press
[82]
웹인용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www.seven-won[...]
2014-02-05
[83]
웹인용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http://www.unmuseum.[...]
2014-02-05
[84]
저널
Nineveh, Babylon and the Hanging Gardens: Cuneiform and Classical Sources Reconciled
[85]
웹사이트
Joseph. contr. Appion.
http://www.sacred-te[...]
[86]
문서
Diodorus Siculus II.10-1-10
[87]
문서
History of Alexander V.1.35-5
[88]
문서
Strabo, Geography XVI.1.5
[89]
서적
Of Pots and P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as presented to David Oates on his 75th Birthday
[90]
서적
Herodotus and Hellenistic culture: Literary Studies in the Reception of the Histor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1]
저널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92]
서적
Babylon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93]
서적
The World of Berossos
[94]
저널
Ancient Mesopotamian Garde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solved
[95]
뉴스
Babylon's hanging garden: ancient scripts give clue to missing wonder
https://www.theguard[...]
2013-05-05
[96]
서적
Babylonian Topographical Texts
[97]
문서
Cuneifor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98]
문서
Ina Sulmi Erub
[99]
문서
The Octagonal Sennacherib Prism in the Iraq Museum
[100]
문서
Sennacherib's Aqueduct at Jerwan
[101]
서적
Discoveries in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102]
문서
[10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